티스토리

빛나는불꽃
검색하기

블로그 홈

빛나는불꽃

songs-family.tistory.com/m

IT 기술학습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장애이슈] TTYHOG OVER-RUN(0873CF9F) 에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작성하게 되네요 앞으로 자주자주 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장애내용 errpt 내용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에러분석 내용 Error Log에 기록된 tty hog over-run 메세지는 무시하셔도 되는 로그입니다. 해당 message 는 pts/X (주로 telnet, ksh창) 을 통한 session에서 과도한 스크립트가 실행되었거나, 많은 내용의 텍스트를 붙혀넣기 작업으로 인하여 CPU에 일시적으로 load가 걸렸다는 message입니다. 즉, 일시적인 상황으로 log로 찍은 내용으로서, 장애가 아닌 information이므로 무시하셔도 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리소스이름에 pts/X 라고 출력되는 것은 일종의 가상 tty 로써 원격지에서 시스템에 접..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9.
  • [PowerHA] HACMP SystemMirror 7.2 구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PowerHA 구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owerHA 란? AIX Unix 및 Linux 에서 고 가용성 클러스터 를위한 IBM의 솔루션입니다. IBM System p 플랫폼은 고 가용성 클러스터 다중 처리를 나타냅니다. IBM의 HACMP 제품은 1991 년에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PowerHA는 최대 32 개의 컴퓨터 또는 노드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각 노드는 애플리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실행 (활성)하거나 다른 노드가 실패 할 때 (수동) 인계 대기 중입니다. 파일 시스템 의 데이터는 클러스터의 시스템간에 공유 할 수 있습니다. PowerHA는 IBM의 Reliable Scalable Cluster Technology (RSCT)에 크게 의존합니다. PowerHA는 RSCT 인.. 공감수 4 댓글수 1 2022. 9. 22.
  • [장애이슈] AIX errpt 명령어 에러 출력내용 오류 수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errpt 명령어 수행시 정상적으로 에러 내용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내용 먼저 비정상적인 경우의 출력화면을 확인해보겠습니다. [node1:root]/>errpt | more IDENTIFIER TIMESTAMP T C RESOURCE_NAME DESCRIPTION F31FFAC3 0811170122 N U hdisk0 DE3B8540 0811170122 N U hdisk0 F31FFAC3 0801071122 N U hdisk0 DE3B8540 0801071122 N U hdisk0 F31FFAC3 0725125222 N U hdisk0 DE3B8540 0725125222 N U hdisk0 F31FFAC3 0717010122 N U hdisk0 DE3B85..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18.
  • [HMC] Update Access Key(UAK) 값 갱신 및 시스템 적용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UAK 값을 갱신 및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UAK의 개념과 만료날짜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난번에 작성한 문서를 참고바랍니다. 2022.03.09 - [IBM시스템/HMC] - [HMC] Update Access Key(UAK) 개념 및 만료날짜 확인 [HMC] Update Access Key(UAK) 개념 및 만료날짜 확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IBM시스템의 UAK 개념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UAK(Update Access Key) 란? POWER8(이상) 서버에는 시스템 펌웨어 업데이트가 시스템에 적용될 때 확인되는 UAK가 포함되어 있습니 songs-family.tistory.com 1. Update Access Key(UAK) 값 갱신..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9.
  • [장애이슈] EMX0 EEH(Enhanced I/O Error Handling) Error 조치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IBM Power8 이상의 장비에 연결된 I/O 확장드로어(EMX0) 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EEH 에러에 대한 조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내용 PCIe Gen3 I/O 확장 드로어 기능이 있는 클라이언트 EMX0과 PCIe 6슬롯 팬아웃 모듈 기능 EMXF 또는 EMXG는 EEH(향상된 오류 처리)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치된 I/O 어댑터에서 다시 로드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재설정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 시스템 참조 코드(SRC) B7006A8D 또는 B7006A8E가 기록됩니다. 예를 들어 EMX0#1,#2 NIC 이더채널 구성시, EMX0#1의 Active Line이 장애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29.
  • [AIX] SSH RSA 공개 Key 생성 및 authorized_keys 파일 교환 안녕하세요. 오늘은 SSH 공개키 값 생성하는 법과 호스트간의 SSH공개키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SSH 공개Key 를 사용하는 이유 호스트 간의 SSH 공개(Public) Key 값을 교환하게 되면 SSH 접속을 할때 패스워드를 물어보지 않습니다. 관리하는 시스템이 많거나 IBM GPFS(General Parallel File System) 를 구축할 때 필수적으로 설정해주어야 됩니다. 2. SSH 공개 Key 생성 node1:root]/.ssh>tail /etc/hosts … 10.50.1.81 node1 10.50.1.82 node2 10.50.1.83 VIP [node1:root]/.ssh>ssh node2 date root@node2's password: 키값을 생성하기전..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18.
  • [AIX] OS 미러링을 이용한 DATA Migration 방법 (Mirroring, splitvg) 안녕하세요. 빛나는불꽃 입니다. 오늘은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외장디스크(스토리지)가 변경될 경우 스토리지 업체에서 DATA Migration을 하는게 간단합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OS에서 데이터를 복제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OS에서 자주사용하게 되는 미러링 작업으로 인해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법을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1. 테스트 환경 테스트를 위해 볼륨그룹 [datavg] 와 LV [lv01, lv02, lv03] 를 생성하였습니다. 동일한 용량인 신규 디스크 (hdisk1, hdisk3) 에 DATA 를 복제하도록 하겠습니다. [node2:root]/>lspv hdisk0 00c5c1d71c2b3c88 rootvg active hdisk1 00.. 공감수 0 댓글수 2 2022. 5. 23.
  • [AIX] OS에서 Diag를 이용한 물리적 Adapter 교체 안녕하세요. 오늘은 물리적인 어뎁터(Adapter)를 AIX OS상에서 온라인중에 교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운영중에 Adapter 장애가 발생할 경우나 환경변경으로 인해서 Adapter를 교체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Adapter를 교체하는 방식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AIX OS상에서 교체할 Adapter의 물리적 위치 변경 없이 서비스 온라인중에 diag명령어로 교체가 가능합니다. 두번째로는, HMC 와 해당 Lpar 간의 Dlpar 구성이 되어 있을 경우에만 서비스 온라인중에 가능합니다. 변경할 Adapter 의 물리적 위치의 변경까지 가능하며 Apdater 추가/삭제/교체 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첫번쨰 방법인 OS상에서 물리적 교체 위치 변경없이 온라인 중에 Adpater변..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8.
  • [장애이슈] AIX OS 디스크 장애 조치방법(디스크 교체, OS미러링, boot설정) 장애내용 기존 OS미러링(hdisk0, hdisk1) 으로 구성하여 서비스를 운영중인 시스템에서 디스크 장애(hdisk1)가 발생하였습니다. 1. errpt 명령어로 확인하였을때 hdisk1 [DISK OPERATION ERROR] 가 발생한것 을 확인하였습니다. 2. VG 미러링 상태를 확인하였을때 LV상태가 open/syncd(정상)상태에서 open/stale(비정상)상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조치방법 1. 미러링 해제 작업 - smitty unmirrorvg 명령어로 장애디스크(hdisk1) 선택 후 실행해줍니다. - VG 상태확인 : PVs 가 1로 변경되었고 hdisk1에는 lv가 존재하지 않는것 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장애디스크(hdisk1) 제거 - rootvg 에서 장애디..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2.
  • [장애이슈] SSH 키 인증 방식 변경(ssh-rsa > ecdsa) 에 따른 서비스 장애 안녕하세요. 오늘은 SSH 키 인증 방식 변경에 따른 이슈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장애내용 기존 client 가 server에 접속할때는 ssh-rsa 방식으로 SFTP 접속을 하여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하고 있었는데, OS재기동 이후 접속에러가 발생하여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후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client 에서 known_host에서 server 호스트 내용 삭제 후 서비스가 정상화 되었지만, 키 알고리즘 인증 방식이 ecdsa-sha2-nistp256로 변경되었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Server에서 /etc/ssh/sshd_config 파일을 확인해본 결과, 기본설정에서 아래내용이 추가 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 하였습니다. . . . HostKeyAlgorithms +ssh-dss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AIX] hostid 확인 및 고정(Fix)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hosti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ostid란? 일반적으로 hostid는 고유의 값으로 특정 솔루션의 License 를 OS별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hostid 명령어로 출력되는 값은 현재 로컬 호스트의 ID(고유한 호스트 이름 또는 숫자 인수)를 16진수로 표시합니다 이 숫자 값은 모든 호스트에서 고유할 것으로 예상되고 일반적으로 InternetAddress 또는 HostName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되는 호스트의 주소로 설정됩니다. 루트 사용자는 HexNumber, InternetAddress 또는 HostName 매개변수에 대해 16진수를 지정하여 hostid 명령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hostid 확인 및 설정방법 1. hostid 확인 [node1:root]/>i..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19.
  • [HMC] windows dd를 이용한 Bootable USB 장치 생성(V9 R2 M950 Recovery 이미지)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HMC 장애로 인해 OS를 재설치가 필요한 경우, HMC Recovery 이미지가 들어있는 DVD나 USB를 사용하여 설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오늘은 [HMC_Recovery_V9 R2 M950] 이미지를 Booting이 가능한 USB로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Bootable USB 디바이스를 생성할때는 rufus 나 ultraiso, 이응 같은 윈도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Bootable USB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말씀드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요즘 설치되는 HMC버젼인 V9 R2 이상의 Recovery 디스크를 준비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USB부팅 디스크를 만들고 확인을 하면 정상적인 파티션 유지가 되지않고 5GB 용량이 아닌 760..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13.
  • [홈네트워크] SK인터넷 사용자 공유기 접속 및 Bridge모드 변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SK공유기 접속방법과 공유기 동작모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SK공유기 접속방법 기본적으로 SK인터넷을 사용하게되면 광모뎀이 설치되게 됩니다. 저는 추가적으로 SK 유무선공유기도 신청하여 사용중입니다. 네트워크 상세 구성도 정보는 이전문서를 참고바랍니다. 2022.03.15 - [Home Network/Network] - [홈네트워크] SK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Home Network 구성 [홈네트워크] SK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Home Network 구성 안녕하세요. 빛나는 불꽃입니다. 오늘은 SK브로드밴드 인터넷과 Btv를 이용하신 분들을 위한 홈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방법과 변경 후 장점에 대해 songs-famil.. 공감수 6 댓글수 3 2022. 4. 6.
  • [홈네트워크] SK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Home Network 구성 안녕하세요. 빛나는 불꽃입니다. 오늘은 SK브로드밴드 인터넷과 Btv를 이용하신 분들을 위한 홈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방법과 변경 후 장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란? 가정 내 다양한 정보기기들 상호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정 내부에서는 정보 가전 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커뮤니케이션하고 외부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상호 접속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K 인터넷 사용자 초기(기존) 홈네트워크 구성도 저의 경험에 따르면 초기 SK인터넷과 Btv를 신청을 하고 설치를 하면 위 구성도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을 해줍니다. 저는 0.5기가(500MB) 상품을.. 공감수 9 댓글수 6 2022. 3. 15.
  • [AIX] Cron 데몬을 이용한 작업 스케줄링(Scheduling) 안녕하세요. 오늘은 cron 데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ron 데몬이란? 날짜별 데이터 이벤트 관리자인 cron 데몬은 특정 시간과 날짜에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스케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inittab 파일은 cron 데몬을 비롯한 AIX의 모든 시동 프로그램을 포함합니다. AIX 시동 시 init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의 초기화 과정동안 inittab 파일에서 cron 데몬 또는 cron을 기동시킵니다 1. 작업을 cron에 제출 다음 중 한가지를 수행하여 작업 또는 이벤트를 cron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 한 번 수행을 위한 작업 제출을 위해서는 at 과 batch 기능을 사용합니다 - 정기적으로 스케줄된 간격(한시간 마다, 매일, 매주 등)으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crontab을 사..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3. 14.
  • [장애이슈] HMC Reference Code 0569 부팅 장애 안녕하세요. 오늘은 OS부팅 장애이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내용 OS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HMC 0569 Reference Code 에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0569코드는 정상적인 IPL Progress Code 이며, HMC에서 설명을 보면 아래와 같은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CS SCSI protocol device is being configured (32 bits). 해결방법 FCS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이와 연결된 Cable, GBIC등 하드웨어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우선 하드웨어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경에 따라 SAN스위치의 Zoning 정보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1. IBM Boot Debug 로그 수집 및 IBM 분석..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3. 12.
  • [HMC] Update Access Key(UAK) 개념 및 만료날짜 확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IBM시스템의 UAK 개념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UAK(Update Access Key) 란? POWER8(이상) 서버에는 시스템 펌웨어 업데이트가 시스템에 적용될 때 확인되는 UAK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UAK에는 만료 날짜가 포함되어 있고, 시스템 펌웨어 업데이트에는 릴리스 날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펌웨어 업데이트 적용을 시도할 때 펌웨어 업데이트 릴리스 날짜가 업데이트 액세스 키 만료 날짜를 지난 경우 업데이트가 처리되지 않습니다. UAK값은 신규 시스템이 납품되고 3년 Warrenty 기간(정확하지않음) 동안 유효합니다. 그 이후 "업데이트 액세스 키"가 만료일이 다가옴에 따라 아래 HMC 메시지 화면이 표시됩니다. 이 화면은 "액세스 키 업데이트"가 만료되기 3..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3. 9.
  • [AIX] AIX7.1 Default 계정 보안취약점 안녕하세요. 고객사 환경에 따라 보안취약점을 적용해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불필요한 기본계정에 대해서 관리자 그룹에서 제거하거나 삭제해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OS를 신규설치한 후의 계정과 그룹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oslevel -s 7100-04-04-1717 # cat /etc/passwd root:!:0:0::/:/usr/bin/ksh daemon:!:1:1::/etc: bin:!:2:2::/bin: sys:!:3:3::/usr/sys: adm:!:4:4::/var/adm: uucp:!:5:5::/usr/lib/uucp: guest:!:100:100::/home/guest: nobody:!:4294967294:4294967294::/: lpd:!:9:4294967294::/: lp:*:11:.. 공감수 2 댓글수 1 2022. 3. 7.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